- 대선 부동산 전망, 후보별 부동산 공약
- 이재명 부동산 정책, 김문수 GTX 공약, 이준석 1인가구 주택
- 1기 신도시 재건축, GTX 노선 투자, 수도권 집값 예측
- 용산 개발 호재, 분당 집값, 청년주택 특구
1. 이재명 후보 — “1기 신도시 재정비 + GTX-A·C 속도전”
- 핵심 공약 : 1기 신도시(분당·일산·산본·중동·평촌) 통합 재건축 특별법·용적률 상향,
서울 30만 호 공급, GTX-A·C 조기 완공 등 월급쟁이부자들MBC NEWS - 가격 탄력 예상 지역
- 분당·일산·평촌 — 용적률 ↑ + 안전진단 완화 → 재건축 기대감
- 용산·마포 — 국철·GTX 결절점 + 용산 국제업무지구 재추진 이슈
- GTX-A/C 환승역(창동·청량리·성남) — 교통 프리미엄
- 투자 포인트 : 재건축 초과이익 부담금 / 재초환 완화 수위가 관건
2. 김문수 후보 — “3 백만 호 공급 + GTX 전국 확대”
- 핵심 공약 : 수도권 150 만 호 + 지방 150 만 호 대규모 택지 개발, GTX-B·D 신속 추진·F·G 신규 검토,
규제지역 대폭 해제 한국경제뉴스핌 - 가격 탄력 예상 지역
- GTX 예정·신설 노선 : 송도·동탄·인덕원·평택·춘천·청주
- 수도권 외곽 신도시(검단·평택·남양주 왕숙) — 공급 확대 --› 초기 분양가 관심
- 지방 광역시(대구·광주) 역세권 — 'GTX 지방판' KTX-Xpress·광역철도 호재
- 투자 포인트 : 대규모 공급이 “공급 쇼크”로 작용할지, 교통 프리미엄으로 상쇄될지 분기점
3. 이준석 후보 — “청년 특화 주거혁신 + 디지털 경제벨트”
- 핵심 공약 : 청년원가주택 30 만 호, ICT-스타트업 벨트(판교-광명-화성) 용적률 500% 완화, 종부세·취득세 합리화
Brunch Story - 가격 탄력 예상 지역
- 판교·광명·화성 동탄 — 디지털벨트 내 스타트업·외국인 수요
- 1~2기 신도시 인접 지역(수원 호매실·의왕 청계) — 청년주택 시범지구
- 세종·대덕 R&D 특구 — 규제프리존 확대 + 세제감면
- 투자 포인트 : 청년 전용 모기지·LTV 상향 → 실수요 유입 속도 체크

📈 주요 쟁점 비교 한눈에
공약 항목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

공급 물량 | 서울 30 만 호 + 1기 신도시 재건축 | 전국 300 만 호 신도시·도시첨단지구 | 청년원가주택 30 만 호 |
교통 | GTX-A·C 조기 개통 | GTX 전국 확대(B·D·F·G) | GTX-A/B 청년주택 연계 |
세제 | 재건축 초과이익·종부세 완화 | 종부세·재초환 전면 개편 | 종부세·취득세 합리화 |
규제 | 안전진단 완화 | 투기지역 해제·용적률 ↑ | 그린벨트 부분 해제 |

📝 마무리 & 체크리스트
- 공약은 ‘구체성’이 관건 — 예산·법 개정 수위에 따라 현실화 속도 차이.
- GTX 노선 겹치는 지역 은 세 후보가 모두 언급 → 정책 불확실성 대비 단기 변동성 가능.
- 재건축·재개발 투자 는 세금·안전진단 규정 개편 타임라인을 반드시 체크.
- 청년 특화 공약 은 대출금리·LTV 한도 등 금융 정책과 세트로 확인해야 실효성 검증 가능.
📸 이미지·그래픽 출처
이미지출처·라이선스
후보 사진(상단 캐러셀) | 네이트뉴스 이준석 인터뷰 사진 / MBC뉴스 이재명 유세 사진 |
GTX 노선도(상단 캐러셀) | 연합뉴스 그래픽 |
본문 Unsplash·Pixabay 사진 | 무료 상업용(CC0) : @seonghyeonjo, @yohancho (Unsplash) / Pixabay 철도 이미지 |
“누가 대통령이 돼도 수혜가 유력한 3대 지역”
순위왜 후보 3인 모두 언급·지원?핵심 호재투자 체크포인트
① GTX 환승 초핵심역권 (서울역·삼성역·청량리·창동) |
‣ 이재명 · 김문수,이준석, 모두 GTX 조기 개통·노선 확대를 1순위 공약으로 제시 한국경제조선일보서울경제 |
▸ 광역 30~40 분 생활권 ▸ 역세권 복합개발 업무시설 유입 |
▸ 착공·개통 타임라인 차이 → 단기 변동성 ▸ 역 직주근접 단지 (500 m 이내) vs. 환승거리 비교 |
② 1기 신도시 재건축지 (분당·일산·평촌·산본·중동) |
‣ 세 후보 모두 용적률 상향·안전진단 완화 공약 → 30년차 노후단지 재건축 가속 한국경제서울경제 | ▸ 3.3 ㎡당 추가 공급 여력 ↑ ▸ 리모델링보다 재건축 선호 전환 |
▸ “재건축 초과이익” 감면 폭이 확정돼야 수지 계산 가능 |
③ 용산 국제업무지구·한강권(용산 ~ 여의도) | ‣ 여야 공통으로 국가 주도 국제업무·MICE 허브 재추진 언급 ‣ GTX A·신분당·공항철도 직결 |
▸ 미군기지 공원화 + 국제업무지구 후속 발표 대기 ▸ 외국계 HQ·핀테크 기업 이전 움직임 |
▸ 토지거래허가구역·용적률 규제 단계별 완화 일정 주시 |
핵심 요약
- 교통+공급+국가 프로젝트가 동시에 걸쳐 있는 곳 →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예산·기반 시설이 이미 진행 중.
최대 변수는 시기(언제 완공?) 와 세제·규제 디테일 — 하지만 ‘방향성’은 3인 모두 일치.
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… 발행 예정 글 입니다....!
- 세 후보 공약별 세부 시나리오로 재분석해 달라
- GTX-C 환승역별 시세 격차가 궁금하다
- 용산 IBD 로드맵과 주변 토지거래 규제 타임라인 정리